자주 쓰이는 위스키 용어? 정리
얼마 전, 엔젤스 엔비를 마시다가 그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엔젤스 셰어'처럼, 이런 저런 위스키 용어가 많은데, 한 번쯤 그걸 정리해 볼 필요가 있다고 말이죠.
그래서 술기운에 조금 주절거릴 겸 해서 적어봅니다.
숙성 관련 용어
에이지 스테이트먼트 (혹은 숙성 년도) :
병에 표기된 숫자는 가장 어린 오크통의 숙성 연수를 의미합니다.“12년산”이면, 블렌딩된 모든 위스키 중 가장 어린 것이 최소 12년 숙성되었음을 뜻합니다.
노 에이지 스테이트먼트 (주로 NAS 라고 표기함) :
숙성 연수를 표기하지 않은 위스키입니다. 숙성 연수보다는 맛과 스타일에 집중한 제품군...이라고 소개하긴 하는데, 먹어봐야 아는 건 변하지 않습니다.
피니싱 :
숙성이 끝난 위스키를 다른 종류의 캐스크(주로 셰리, 포트, 와인 캐스크 등)로 옮겨 추가 숙성하는 과정입니다. 보통 수개월에서 2~3년 정도 진행되며, 캐스크의 특성이 위스키에 고유한 풍미를 더해줍니다. “더블 캐스크”, “트리플 캐스크” 등으로도 표현됩니다. (엔젤스 엔비가 여기에 속합니다.)
배치 :
오크통들의 순번이자, 여러 오크통을 섞어서 맛을 합치는 과정을 이야기합니다. 각기 다른 특징을 가진 오크통들을 섞어서 맛과 향을 균일하게 맞추는 작업이기도 하니, 역시 마스터 디스틸러의 역량이 가장 중요한 구간이기도 하죠. 적게는 수십개에서 많게는 수천개의 오크통을 섞어 맛과 향의 차이를 최소화하고 품질을 균일하게 맞추는 역량이 요구되는 작업입니다.
스몰 배치 :
수십 개 이하의 소수의 오크통을 선별하여 블렌딩한 위스키를 의미합니다. 대량 생산 위스키보다는 좀 더 개성이 뚜렷하고 실험적인 시도가 많은 경우가 많습니다. 일정한 기준 없이 증류소마다 ‘스몰 배치’의 기준이 다르지만, 대체로 한정 수량으로 출시되며 마스터 디스틸러의 의도가 강하게 반영되는 제품군입니다. (물론 양심없이 수천개씩 섞어놓고 스몰 배치라고 하는 곳도 있다는 카더라가 있습니다.)
싱글 배럴 / 싱글 캐스크 :
오직 하나의 오크통에서 나온 위스키를 병입한 것을 뜻합니다. 블렌딩 없이 단일 캐스크의 특성과 개성이 그대로 드러나기 때문에, 같은 증류소의 싱글 배럴 제품이라도 오크통마다 맛과 향이 전혀 다를 수 있습니다. 흔히 병 라벨에는 캐스크 넘버와 병입 순번 등이 함께 표기됩니다.
캐스트 스트랭스 / 배럴 스트랭스 / 배럴 프루프 :
숙성 후 물을 타지 않고 오크통에서 꺼낸 원액 그대로 병입한 위스키를 의미합니다. 알코올 도수가 높고 풍미가 강하며, 소비자가 물을 섞어 취향에 맞게 마실 수 있도록 여지를 남긴 제품이기도 합니다. 위스키의 원형 그대로를 경험하고자 하는 애호가들에게 인기가 많습니다.
체리 캐스크 / 포트 캐스크 / 와인 캐스크... :
그냥 오크통의 종류입니다. 각 오크통마다 술에 입혀지는 특이한 맛이 있긴 한데, 뭐... 먹다보면 자연스럽게 알게되는 기분이랄까요.
재료 관련 용어
몰트 :
보리를 싹 틔운 후 말린 것을 의미합니다. 보통 위스키 풍미의 핵심 재료라고 불리는데, 종류도 여러가지 입니다. (몰티드 바리: 발아한 보리, 언몰티드 바리: 발아하지 않은 보리, 피티드 몰트: 피트로 말린 몰트. 훈연 향이 강함. 등등이 있습니다)
그레인 :
보리 외의 곡물(옥수수, 밀, 호밀 등)을 이야기합니다. 주로 그레인 (몰트를 제외하고 곡물 혼합), 혹은 콘 (옥수수를 주로 사용함), 라이 (호밀을 주로 사용함, 보통 스파이시함이 강하다고 합니다) 등등의 종류가 있습니다.
시간 나면 계속 추가해 보겠습니다.
'공지 및 잡담 > 잡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즘 가볍게 먹고 있는 것 (0) | 2025.03.29 |
---|---|
글렛리벳 2차 후기 +잡담 (1) | 2025.02.28 |
오랜만에 복귀입니다. (0) | 2024.05.04 |